오늘은 반도체 연구소(S전자) 에서 하는 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전 반도체 연구소 출신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얘기는 아니지만 양산라인과 협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일 하는지 정도는 대략적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반도체 연구소를 지망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반도체 연구소란?
반도체라인은 연구소와 양산라인으로 크게 나뉩니다. S 사에서 주로 얘기하는 반도체 연구소는 선행공정기술을 연구하는 라인으로 양산라인에서 양산되기 전 제품을 선행적으로 생산해 보는 연구라인입니다. 고깃집으로 생각하면 초벌을 해주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새로운 제품이 만들어질 때는 공정기술로 극복해야 하는 여러 난관이 있는데 이를 미리 경험해 보고 극복해 나가는 연구를 하는 곳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2. 반도체 연구소에서 하는 일은?
선행적인 제품 셋업이 이루어지는 곳이기에 신제품에 대한 연구, 평가가 진행되는 곳입니다. 주로 필요한 공정 아웃풋을 내기 위한 평가가 지속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반복되는 평가와 고질적인 불량 발생으로 인해 어려운 난관에 봉착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며 제품으로써 어느 정도의 수율 및 성과를 보이게 되면 이를 양산라인에서 양산할 수 있도록 인수인계를 하는 일까지 맡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양산라인 엔지니어들과 협업하며 각 양산라인에 셋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3. 반도체 연구소 장점
장점은 선행라인이기에 많은 평가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쌓이는 데이터를 통해 엔지니어로써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물론 반도체 연구라는 것이 어느 정도 막일 즉, 끝을 알 수 없는 반복평가가 수반되는 것이기에 이에 대해 거부감이 있으신 분들은 업무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실 수도 있지만 제품 개선이나 불량 개선에 대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엔지니어로써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도체 메모리 공정기술은 한국이 단연 세계 1위이기에 회사 내에서 지식을 쌓아간다며 본인의 커리어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기술에 관심이나 역량을 키우시고 싶은 분들은 반도체 연구소 지망을 추천드립니다.
4. 반도체 연구소 단점
연구소는 석, 박사 TO가 많기에 학사이신 분들은 지원을 하실 수 있는 TO가 제한적입니다. 학사는 대부분 양산라인에 배치를 받게 되고 그중 소수는 지원자에 한해 연구소에서 일하게 되지만 석, 박사 포션이 큰 그룹에서 학사로써의 한계(진급, 고과 등등)를 어느 정도 예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본인의 의지와 업무 수행능력에 따라 달라질 순 있지만 조직이 클 수 록 대세(석, 박사 위주의 조직체계)를 거스르기 쉽지 않다는 점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넘쳐 나는 반도체 사설 교육 기관 주의해야 할 점 (0) | 2023.10.05 |
---|---|
반도체 공정기술 엔지니어 대한 다섯가지 오해 (0) | 2023.09.15 |
반도체 인력 부족 현상 계속되는 이유 세가지 (0) | 2023.09.06 |
반도체 공정 기술 엔지니어 해야 하는 다섯 가지 이유 (0) | 2023.09.05 |
HBM3 엔디비아 공급 삼성 전자 향방은? (0) | 2023.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