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3 반도체 엔지니어 워라벨(워라밸) 반도체는 최첨단 제품이고 우리나라가 가장 앞서가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 항상 바쁠 것이다. 워라벨은 다른 세상 얘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라 보고 양산 fab 엔지니어의 워라벨에 대해 근무형태, 부서별로 말해보겠습니다. 1. 근무형태 반도체 엔지니어는 교대근무 오피스 근무로 나뉘게 되는데 연차가 쌓이면 오피스 근무로 전환이 되는 것이 보통 입니다. 대리급까지는 교대근무를 하게 되며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8시간 근무시간만 충족되면 칼퇴가 가능한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러나 휴일 및 주말에 연속으로 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휴일근무를 평일에 쉬는 걸로 대체되는 게 현실입니다. 주말과 휴일에는 무조건 쉬어야 한다는 분들은 교대근무를 할 수 없으며 만족도가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보이고 평일 휴일도.. 2022. 7. 8. 반도체 엔지니어 실제업무 (공정엔지니어) 반도체 엔지니어 중 공정 엔지니어가 하는 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엔지니어의 주요 업무는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는 기사나 자료를 참고해주시고 여기서는 실제로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실제업무 실제 업무는 반도체를 양산 fab에서 생산하는데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생산에 가장 중요한 점은 생산량, 수율 두 가지인데 이 두 가지를 목표에 맞춰 생산하는 것이 공정 엔지니어의 실제 업무입니다. 전 부서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리급까지는 교대근무를 하는 것이 보통이고 근무시간 동안 웨이퍼에 문제가 생기거나 생산에 문제가 생긴 경우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잘못된 일처리나 노하우 부족으로 웨이퍼를 몇 매에서 크게는 몇백 매까지 출하.. 2022. 7. 7. 반도체 엔지니어 실제업무 (설비 엔지니어) 반도체 엔지니어는 각 부서 엔지니어마다 주요 업무가 나뉘어 있습니다. 양산 엔지니어의 주요 업무는 말씀드린 적이 있지만 실제 어떤 일을 하는지 상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로 설비 엔지니어의 실제 업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실제업무 양산설비를 유지, 보수하는 일을 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설비 파츠 개선까지 맡게 됩니다. 셋업 라인에 파견이 되게 되면 설비 셋업부터 진행하게 되며 설비반입, 이설 관련 업무가 많아 셋업 라인에선 설비 엔지니어 업무가 많기 때문에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신입사원도 많이 배치를 받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업무는 설비상태가 항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보수, 개선하는 일인데 이건 반복적인 일이라 큰 스트레스는 없으나 설비 고장으로 인해 동작을 하지 못.. 2022. 7. 6. 반도체 라인근무 현실 반도체 엔지니어가 양산 FAB에 근무할 시 라인이라고 말하는 FAB 내에서 근무를 하게 됩니다. 라인 근무에는 장, 단점이 존재하나 입사 당시에는 무조건 적으로 거부반응이 오게 됩니다. 라인 근무가 실제로 어떤지 경험함 바에 따라 장, 단점을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1. 장점 장점은 많지 않으나 하나가 있다면 과, 부장들(상급자)의 직접적인 간섭이 적을 수 있습니다. 물론 메신저나 전화로 지시가 오기는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상급자 분들은 입실까지 하기 않기 때문에 라인내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본인의 판단에 따라 업무나 테스트를 하게 되고 결과를 마무리까지 해서 상부에 전달하는 식의 업무가 되다 보니 중간에서 융통성 있게 나쁜 점은 숨기고.. 좋은 점은 부풀리고 하는 식의.. 2022. 7. 5. 이전 1 ··· 72 73 74 75 7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