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3

부동산 전세 매매 지수로 보는 주택매매 타이밍 전세지수는 매매지수를 선반영 한다고 하여 전세가 상승 시점에 매매 타이밍을 잡기도 합니다. 80년대 후반부터 전세지수가 매매지수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해당 데이터는 KB 부동산 종합 매매, 전세 지수를 토대로 확인한 내용입니다. 1. 전세 지수 추이 전세 지수 추이는 80년대 후반부터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침체 기간은 두 군대로 1998년 IMF로 인한 구간 2003년 노무현 정권 10.29 대책 이후 주택시장 침체로 인한 가격 하락 구간이 있으나 기간이 길어봐야 2년 정도로 매우 짧습니다. 전국, 서울 관계없이 지속 상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전세, 매매 지수 상관성 전세지수 하락 기간이 매우 짧아 상관성을 확인해보기 힘들지만 2003년 하락 구간에 전세 가격이 먼저 하락하.. 2022. 9. 27.
정부정책에 따른 주택매매가격(지수) 변화 정부 정책에 따른 주택매매 지수가 어떻게 변동되었는지 80년대 말부터 지금까지 정권에 따른 매매지수변동을 간단하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태우 정부 (보수) 강력한 규제로 하향 안정화 정책을 취했으며 아파트 토지 가격 급등한 시기로 분양권 전매금지, 1기 신도시 공급, 양도세, 종합토지세 세금 규제 강화 등으로 임기말 주택 가격이 상승세가 꺾이게 됩니다. 2. 김영삼 정부 (보수) 부동산 가격의 변동 없는 상태로 약한 규제정책만 펼쳤으며 부동산 실명제 실시, 주택임대사업자 도입, 수도권 25만 호 공급 등 주택 가격 유지 정책을 펼칩니다. 3. 김대중 정부 (진보) 김영삼 정부 임기말 IMF와 더불어 급격한 하락장을 보여 강한 부양정책을 펼칩니다. 세금 규제 완화(양도세 감면), 청약자격 완화.. 2022. 9. 26.
깡통전세 확실히 피하는법 깡통전세가 급증함에 따라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를 확실히 피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시세 파악 깡통전세는 보통 다세대 빌라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유는 시세 파악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깡통 전세라 고함은 매매 가격 대비 대출 및 채권+전세보증금이 80% 를 넘어가는 매물을 말하는데 보통 매매 가격에 대한 파악을 제대로 하지 않고 전세계약을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세는 본인의 자금을 무이자로 타인에게 빌려준다는 개념이므로 무조건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고 본인이 임차하려는 곳의 시세가 어느 정도인지는 파악하고 들어가는 것이 본인의 전세금을 지킬 수 있는 길입니다. 2. 전입신고, 확정일자 가장 기본적인 일이며 전입신고.. 2022. 9. 24.
부동산 경매 임장 시 알아야 할 것 부동산 경매물건 중 입찰을 하려고 하신다면 임장은 필수입니다. 임장을 통해서 어떤 정보를 어떻게 얻어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1. 주변 환경 경매물건의 주변 환경은 경매 낙찰 시 임차나 매도가 가능한 지역인지 말해줍니다. 원룸이나 오피스텔이라면 1인이나 2인이 사는데 필요한 상가나 편의시설이 주변에 있는지 살펴야 하며 아파트나 빌라 등 가족단위 평수의 매물이라면 주변 학교나 편리한 마트가 있는지 혐오시설은 없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매물에 따라 수요층을 판단하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 적정 입찰가를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2. 유동인구 주변 환경은 인터넷이나 앱으로도 확인 가능하지만 유동인구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사람들이 돌아다니는 평일 저녁이나 주말이 유동인구를 확인하기 좋은 .. 2022. 9. 23.
반응형